오토보이
사진기능사 (1-1강 사진의 역사) 본문
안녕하세요 오토보이입니다.
사진기능사 필기 1일차입니다.
찐군님의 유튜브 무료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좋은 자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* 출처 https://youtu.be/B5s1PAdYfCk?si=aM2L7j0YuVPG2r1o *
내용 요약 및 정리
카메라 옵스큐라 -> 헬리오그래피 -> 다게레오타입 -> 칼로타입 -> 콜로디온 습판법(앰브로타입) ->
틴 타입 -> 건판 / 고감도 건판 -> 롤필름 -> 컬러사진
1. 사진 (Photography)의 어원
- 빛(Phos) + 그리다(Graphos) = "빛으로 그리다(Photography)" *그리스어*
2. 카메라(Camera)의 어원
- 방(Camera) + 어두운(Obscura) = "어두운 방(Camera Obscura)" *라틴어*
- '어두운 방', 바늘구멍 사진기 원리, 아리스토텔레스 기록,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수단
제롤라모 카르다노 : (볼록)렌즈 부착
3. 최초의 사진
1) "헬리오그래피(Heliography)
- 프랑스의 조세프 니세포르 니에프스
- 1826년 최초의 사진(비공식)
- 백랍판
- '태양의 그림' 이라는 뜻의 사진술
- 양화(포지티브) : 복제불가
- 8시간 노출
2) "다게레오타입(Daguerreotype)"
- 프랑싀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
- 1839년 최초의 사진(공식)
- 은판사진술(은판, 은도금 동판)
- 수은증기 현상법
- 양화(포지티브) : 복제불가
3) "칼로타입(Calotype)"
- 영국의 윌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
- 1841년
- '아름다운 그림'이라는 뜻
- 종이를 감광판으로 사용
- 네거티브 -> 포기티브(음화->양화)
- 대량 복제가능
4. 감광재료의 발달
1) 콜로디온 습판법(Colodion Process, 엠브로 타입)
- 영국의 프레데릭 스코트 아처
- 1851년
- 빛에 민감한 콜로디온 -> 유리판
- 젖어 있는 상태
- 네거티브 -> 포지티브(음화 -> 양화)
- 대량 복제가능
- 유리판 : 상이선명
- 1871년 젤라틴 건판 개발 전까지 널리사용
- 틴 타입(Tin type)으로 발전(금속판)
2) 젤라틴 건판법(Gelatin Process)
- 리처드 리치 매독스
- 1871년
- 젤라틴 : 필름에서 유제층을 고르게 도포시켜 감광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단백질 일종
- 베네트 1878년 고감도 건판 개발, 대량생산 가능
3) 롤필름 *출제 빈도 높음*
- 조지 이스트먼
- 미국 1884년
- 스풀에 감겨 있는 긴 필름 -> 연속촬영
- 188년 박스카메라 '코닥' 고안 : 카메라 소형화
- '이스트먼 고닥' 설립
- "버튼만 눌러주십시오, 다음 일은 우리에게 맡겨 주십시오"
- 대량생산 -> 사진의 대중화에 기여
감광재료 발달순서 : 은판 -> 습판 -> 건판 -> 필름
4) 컬러사진
- 영국 물리학자 맥스웰
- 1861년 최초로 컬러 사진 재현
- R, G, B 3색 분해 촬영 -> 3색 분해 네거티브
- 1869년 호런과 크로스의 가색법 연구 발표
- 만네스와 고도프스키 형제 공동연구 -> 1935년 코닥크롬(Kodakchrome) 탄생
5. 주요 사진사
1) 슐체(J. H. Schulze)
- 독일 교수 및 박식가
- 18세기 초 은(Ag)이 광선에 반응하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
2) 에드워드 마이브리지(Eadweard Muybridge)
- 영국 사진가
- 움직이는 말 등 동물의 동작과 인체의 동작을 연속촬영(모션픽쳐)
3) 로저 펜턴(Roger Fenton)
- 영국 공식 사진가
- 최초의 전쟁 사진가
- 1855년 크리미아 전쟁 촬영
- 기존의 콜로디온 습판법에 자신만의 독특한 감광처리
4) 워커 에반스(Walker Evans)
- 미국 보도사진가
- 미국의 농업안정국 FSA(Farm Security Administration)에 소속되어
- 1935년 미국 경제공항으로 인한 어려운 미국 농촌의 모습을 다큐멘터리 기록
5) 에리히 살로몬(Erich Salomon)
- 독일 유대인 뉴스 사진작가
- 캔디드포토(Candid Photo) : 상대방이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동작이나 표정을
훔쳐서 찍는 사진
6) 존 허셀(John Herschel)
- 영국의 박식가
- 1819년경 하이포가 염화은의 용해제임을 발표
- 티오황산나트륨 -> 마감광은을 용해 : 정착 방법
* 사진기능사(1-2강 광학의 기초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3
사진기능사(1-2강 광학의 기초)
안녕하세요! 오토보이입니다. 1일차 2번째 강의 1-2강 광학의 기초입니다. *출처 찐군 유투브 https://youtu.be/e-p1U_jHAL8?si=e6QfKDjDiGEEoU_f *유튜브와 같이 보시면서 학습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.
autoboy95.tistory.com
'자격증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 (1) | 2025.03.23 |
---|---|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(4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(0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3강 색채의 기초) (2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2강 광학의 기초) (0) | 2025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