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토보이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 본문
안녕하세요~! 오토보이입니다.
오늘의 첫번째 강의입니다. 2-2강은 길어서 파트1과 파트2로 나눠 작성예정입니다.
필기시험이 2주정도 남았네요! 다들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.
벌써 봄이 성큼 다가오는데 얼른 공부하고 출사하러 다녀와야겠습니다!
자료제공해주신 찐군 님께 감사드립니다.
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2Glw-MDd6FQ?si=w2IFUqbcVK3-3Sdu
1. 은염사진
- 대표적인 사진재료 : 필름(빛에 반응하는 감광유제를 폴리에스터, 아세테이트물질위 도포)
인화지(빛에 반응하는 감광유제를 종이 위에 도포)
- 필름과 인화지에 노출 또는 노광을 준 뒤 화확약품들로 현상 처리 -> 사진 완성
2. 감광유제와 할로겐화은
1) 감광유제 = 할로겐화 은 + 젤라틴

2) 할로겐화 은
- 할로겐족 원소(브로민, 염소, 아이오딘, 플루오린, 아스타틴) + 은(Ag)
-> 브로민화은, 염화은, 아이오딘화은
- 감도 순서 : 브로민화은 > 염화은 > 아이오딘화은
- 비은염 감광재료(은염을 사용하지 않는 감광재료) : 다이아조화합물, 다이크로뮴산염
3) 감광재료의 성질
(1) 감광도 : 필름이 빛에 대하여 어느정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가의 정도 / 속도, 저감도 / 고감도 필름
- ISO(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), ASA(American Standard Association),
DIN(Detsche Industry Normal)


(2) 감색성
- 필름이나 인화지의 감광재료가 빛의 색에 대해 느끼는 특성(세가지 꼭 기억!)

(3) 입상성
- 필름의 할로겐화은 입자가 얼마나 가늘고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지 나타냄
- 미립자 : 입자크기 낮음 / 조립자 : 입자 크기 높음


(4) 콘트라스트
- 밝고 어두운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

- 저감도 필름, 현상시간 김, 현상 온도 높음, -> 콘트라스트 높음(경조)
- 고감도 필름, 현상시간 짧음, 현상 온도 낮음, -> 콘트라스트 낮음(연조)
(5) 관용도
- 필름의 재현 가능한 노출 범위(노출의 과부족 오차)를 포용할 수 있는 범위

(6) 해상력
- 필름이 어느 정도의 미세한 디테일까지 표현하는지를 나타내는 기록 능력
- 필름 1mm 폭 안에 기록할 수 있는 선으로 표시
- 저감도 필름 > 고감도 필름
- 미립자 필름 > 조립자 필름
3. 필름
1) 필름의 종류
- 분류기준 : 음영과 색, 컬러 발색 유형, 촬영 광원, 형태, 크기
(1) 음영과 색에 따른 분류


(2) 컬러 발색 유형에 따른 분류
- 리버셜 필름

(3) 촬영 광원에 따른 분류
- 데이라이트(주간 태양빛) 필름 : 색온도 5,500K에 맞춰진 주광용 필름
- 텅스텐(카페 등 노란색위주) 필름 : 색온도 3,200 ~ 3,400K에 맞춰진 필름, 주광에서 촬영시
푸른색으로 표현
(4) 형태에 따른 분류


(5) 크기에 따른 분류

2) 적외선 필름
-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에 반응하는 필름
- 흑백 적외선 필름은 주로 Red필터와 함께 사용
- 녹색잎은 밝게, 청색하늘은 어둡게 표현
- 예술 / 과학 분야 등 다양하게 활용
- 감정, 감식 사진에 활용

3) 흑백필름의 구조
- 보호막층 : 필름 유제면을 스크레치로부터 보호, 컬링 스크레치, 곰팡이 등 방지
- 감광유제 : 젤라틴 + 할로겐화은, 관용도, 입상성, 선예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감도 유제층, 저감도
유제층을 이중도포
- 하도층 : 필름베이스와 유제층, 할레이션 방지층의 접착을 위한 층
- 필름베이스 : 유제층을 도포하는 지지체, 셀룰로이드, 폴리에스터 수지,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사용
- 할레이션 방지층 : 할레이션을 막기 위해 필름 베이스 뒤쪽에 어두운 젤라틴 색소를 도포
* 할레이션 : 의도하지 않게 할로겐화은이 감광되는 현상
* 이레이디에이션 : 빛이 할로게화은 사이에서 난반사되어 의도치 않은 농도를 발생하는 현상
-> 코닥사 T-MAX film 개발

4. 인화지의 종류
1) RC(Rsin-Coated) 인화지
- 종이 지지체 양면에 폴리에틸렌 수지코팅
- 약품이 지지체에 스며들지 않아 빠른 처리
- 건조 후에 휘지 않는 장점
- FB에 비해 계조표현이 풍부하지 않아 작품사진으로 부적함
2) FB(Fiber-Based) 인화지
- 종이 지지체에 황산바륨이 도포(바리타층)
- 약품이 지지체에 침투하여 오랜 처리 시간 소요
- 건조 시에 휘어지는 단점
- RC에 비해 계조표현이 풍부하여 작품사진으로 주로사용

3) 브로마이드지(시험에 많이 나옴)
- 브로민 화은(AgBr) 사용
- 가장 감도 빠른 확대용 인화지
- 특수 목적
4) 클로로브로마이드지
- 염브로민화은(AgCl + AgBr) 사용
- 중간 감도
- 확대용 인화지
5) 가스라이트지
- 염화은(AgCl) 사용
- 낮은 감도
- 컬러 네거 -> 흑백 인화
6) 인화의 감도 빠르기
- 브로마이드지 > 클로로브로마이드지 > 가스라이트지
7) 호수 인화지
- 콘트라스트 정도에 따라 호수 등급이 정해져 나오는 인화지
- 1호 ~ 5호
- 호수가 낮을수록 연조, 호수가 높을수록 경조
8) 가변 콘트라스트지
- 다계조 인화지, 무호지, 멀티그레이드 인화지
- 호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무호지
- 다계조 필터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변경

* 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2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8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2)
안녕하세요~~!! 오토보이입니다. 오늘의 두번째 강의입니다. 날씨가 많이 따뜻하네요^^/ 다들 즐거운 주말되세요!자료 제공해주신 찐군님께 감사드립니다. 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Pd8rfIhXeTs?si=
autoboy95.tistory.com
'자격증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진기능사(3-1강 카메라) (4) | 2025.03.23 |
---|---|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2) (0) | 2025.03.23 |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(4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(0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3강 색채의 기초) (2) | 2025.03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