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토보이
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본문

자격증/필기
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

오토보이 2025. 3. 22. 17:15

안녕하세요 ~ ! 오토보이입니다.
오늘 시간 두번째 강의 입니다.
주말에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 쉽지 않네요. 옆에서 응원해주신분께 감사말씀드립니다~
자료출처는 찐군님의 유튜브입니다.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.  
주소 : https://youtu.be/Z9ryJyfcv_k?si=lwWEVysWe3vEwXLE

1. 노출 측정 및 적용방법

1) 반사식 노출 측정
  - 피사체 방향으로 향하여 피사체가 반사하는 빛의 양 측정(휘도)
  - TTL노출계, 스팟(Spot)노출계
  - 18% 반사율 적용(적정 노출의 기준)
  - 네온사인과 같이 빛을 발하는 물체도 측정 가능


2) 반사식 노출 측정 - 그레이카드
  - 반사율 18%인 중성 회색의 카드
  - 반사식 노출계의 표준 피사체
  - 반사식 노출계 카메라로 촬영 시 정확한 노출과 화이트 밸런스를 위해 활용  

그레이 카드

  - 문제점 : 밝은 장면을 반사식 노출계의 적정 노출로 찍게되면 노출 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어두운 장면을 적정 노출로 찍게되면 노출 과다
  - 촬영자가 따로 노출보정을 해야할 필요가 있음.
    -> 밝은 장면 및 어두운 장면은 의도적으로 밝게 혹은 어둡게 노출보정을 해줘야함.

2) TTL(Through The Lens / 중요! 출제 많음!)
  -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직접 측광하는 방식
  - 카메라 내부에 설치된 센서로 광량을 측정
  - 렌즈를 교환해도 올바르게 노출측정
  - 여러 렌즈 필터를 사용해도 따로 노출 보정해줄 필요 없음 / 적정노출(반사율 18%)로 알아서 해줌

3) 반사식 노출계 - Spot노출계
  -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을 측정(휘도)
  - 반사율 18% 기준
  - 아주 좁은 특정 부분의 노출을 측정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

Spot노출계

4) 노출계의 수광소자
  - Se(셀레늄), SPD(실로콘 포토 다이오드), CdS, GPD(갈륨 포토 다이오드 등)
  - '이런게 있구나' 정도만 인지

5) 측광 방식(반사식 노출)

  (1) 분할 방식
  - 화면의 모든 부분을 각각 따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노출
  - 어떤 상황에서도 적절한 노출을 맞추기에 초보자가 쉽게 사용
  - 극단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할 수도 있음(역광 등)

분할 방식


  (2) 중앙부중점 방식
  - 중앙 부분의 빛에 더 비중을 두어 노출을 맞추는 방식
  - 중앙부 60% 주변부 40%

중앙부중점 방식


  (3) 부분 방식
  - 화면의 좁은 부분을 측광(스팟보다는 넓은 범위)
  - 화면의 약 10 ~ 15%정도 부분 기준으로 노출

부분 방식


  (4) 스팟 방식
  - 화면의 극히 좁은 부분의 점을 측광
  - 화면의 약 3~5%정도 부분 기준으로 노출

스팟 방식


6) 입사식 노출 측정
  - 피사체로 입사되는 빛을 측정(조도)
  - 접사 링이나 벨로스를 사용 할 때(플랜지 백이 길어졌을 때) 노출량 증가해야 함
  - 흰색이나 검은색을 정확하게 표현 : 반사율에 영향 받지 않음
  - 네온사인,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을 발하는 대상은 측정할 수 없음

입사식 노출

7) 입사식 노출계(실기 시험에 사용)
  - 피사체로 들어오는 빛(조도)를 측정 / 피사체에 비치는 광선 양을 측정
  - 수광부 : 플라스틱 반투명한 반구형 180도 까지 모든 빛을 받아들인다.
  - 실제 조명의 밝기를 측정
  - 반사율이 높은 흰색이나 반사율이 낮은 검은색 배경에서 촬영해도 반사율 영향을 받지 않음

입사식 노출계

2. 조리개 및 셔터

1) 조리개
  -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리개 크리로 조절
  - 피사계심도 조절
  - 조리개 값 f-number : 1 / 1.4 / 2 / 2.8 / 4 / 5.6 / 8 / 11 / 16 /22 / 32 / 45 /64 (암기)
  - '1스탑'증가 / 감소 = 빛의양이 2배 증가 / 감소(곱셈으로)

2) 피사계 심도 - 조리개
  - 초점 범위 - 좁다 = 심도 - 얕다 -> 아웃포커스
  - 초점 범위 - 넓다 = 심도 - 깊다 -> 팬포커스

예시 사진(1)

예시 사진(2)

  - 조리개 조절피사체와의 촬영거리를 통해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다.

3) 피사계 심도 - 렌조 초점거리 조절
  - 초점거리 길게(망원) = 아웃포커스
  - 초점거리 짧게(광곽) = 팬포커스

4) 피사계 심도 - 피사체와 촬영거리 조절
  - 촬영거리 가깝게 = 아웃포커스
  - 촬영거리 멀게 = 팬포커스

피사계 심도 정리

조리개 값 f-stop 정리


3. 셔터(Shutter)
  - 빛(광선)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조절
  - 필름이나 이미지센서(감광재료)에 빛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광역할
  - 피사체의 움직임을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표현(운동감)

1) 셔터스피드
  - 1" / 2(분의 1초) / 4 / 8 / 15 / 30 / 60 / 125 / 250 / 500 / 1000 -> 셔터스피드 빨라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<- 셔터스피드 느려짐

2) 포컬플레인셔터 - 일안반사식 카메라 slr 에 채택
  - 바디(몸체) 안에 내장 : 렌즈 뒤, 필름(센서) 앞
  - 선막과 후막의 간격 즉, 슬릿(Slit)을 통하여 노출
  - 선막과 후막의 간격 높음 : 느린 셔터스피드
  - 선막과 후막의 간격 낮음 : 빠른 셔터스피드
  - 장점 : 고속셔터 구현, 렌즈교환 용이,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, 셔터를 렌즈 안쪽에 넣지 않아도 됨
  - 단점 : 큰 진동과 소음, 스트로보 동조시 제한적 1/200s보다 빠르면 안됨, 약한 내구성
      * 선막이 다내려오기전에 후막이 따라 내려와 아래와 같은 현상이 생김

스토로보 동조시 1/200s 보다 빠를 때 찍히는 사진(1)

스토로보 동조시 1/200s 보다 빠를 때 찍히는 사진(2)

3) 렌즈셔터(리프셔터) = 비트윈 렌즈셔터 = 인터 렌즈셔터
  - 렌즈 안에 셔터뭉치가 내장
  - 5 ~ 6개의 금속 판이 둥근 모양으로 렌즈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열렸다가 닫히는 방식
  - 레인지파인더카메라, 이안반사식카메라(TLR), 뷰카메라 등 탑재
  - 장점 : 노광얼룩이 생기지 않음, 적은 왜곡, 작은 진동과 소음, 모든 셔터속도에서 스트로보 동조
  - 단점 : 고속셔터 불가(최대 약 1/500s), 렌즈 교환 제한적, 비싼가격

4. EV(Exposure Value)
  - 주어진 노출에 대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
  - 조리개 수치와 셔터속도의 조합으로 표기
  - 증가할 수 록 노출 감소 / 감소할 수 록 노출 증가

EV

5. 상반칙, 상반칙불궤
1) 상반칙
  -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상관관계에 의해 일정하게 노출 변화

2) 상반칙 불궤
  - 노출시간이 극도로 길거나 짧은 경우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상관관계에 의해 노출이 변하지 않고
    노출 부족이 생기는 현상
  - 컬러슬라이드 필름으로 장시간 노출 시 컬러밸런스가 깨지는 현상

* 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6
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

안녕하세요~! 오토보이입니다. 오늘의 세번째 강의입니다. 주말이라 열공 중입니다!자료를 제공해주신 찐군 님께 감사 말씀드립니다. 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Wr251WznJwg?si=zhAqI2lAZ4VfCswq1. 픽셀(P

autoboy95.tistory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