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토보이
사진기능사(1-3강 색채의 기초) 본문
안녕하세요 ~ 오토보이입니다!
오늘은 첫번째 강의는 1-3강 색채의 기초입니다.
자료 제공해주신 찐군님 감사합니다!
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gx1bis25wkg?si=z22uOdUAXTQNUrsF
1. 색의 3속성 : 색상, 명도, 채도(생. 명. 채)
1) 색상(HUE)
- 다른색과 구별되는 색의 고유 명칭이나 특징
- H로 표시
- 유채색에만 있고 무채색에는 없음
- 3원색 : 빨강, 노랑, 파랑
- 주요 5색상 : 빨강, 노랑 파랑 녹색, 보라
2) 명도(Value)
-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
- V로 표시
- 11단계 : 가장 어두운 검정색(명도0) ~가장 밝은 흰색(명도10)
- 유채색과 무채색에 모두 있음
- 인간의 눈 민감도 : 명도 > 색상 > 채도

3) 채도(Chroma)
- 색의 맑고 탁한 정도
- C로 표시
- 14단계 : 가장 낮은 채도 1 ~ 가장높은 채도 14
- 순색에 무채색 포함량 높음 -> 저채도 낮음(탁색)
- 순색에 무채색 포함량 낮음 -> 고채도 높음(청색)
- 유채색에만 있고 무채색에는 없음

2. 색의 분류 : 무채색, 유채색
1) 무채색
- 명도만 있고 색상이나 채도가 없는 색
- 명도의 단계로서 구별(11단계)
- 반사율 / 흰색 : 85% / 회색 :약 30% / 검은색 : 약 3%
- 온도감 : 중성(따뜻하지도 차지도X)
2) 유채색
- 순수한 무채색 이외의 모든색
- 색상, 명도, 채도를 갖는다.
- 우리나라 먼셀시스템을 인용한 20색상환으로 교육
- 순색, 청색, 탁색
3. 색의 표시법 : 색상환, 색입체
1) 색상환
- 여러 가지 색을 체계적으로 둥글게 늘어놓은 것
-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7가지 색과 그사이의 수많은 색들을 연속적으로 둥글게 배열

2) 색입체
- 색의 3속성(색상, 명도, 채도)을 계통적, 입체적으로 배열한 것
- 색상 - 원: 스펙트럼 순
명도 - 직선(수직의 축) : 위 고명도 <-> 아래 저명도
채도 - 중심에서 방사선 : 안쪽 저채도 <-> 바깥쪽 고채도

- 색입체의 수직 단면(등색상면)
색입체를 수직으로 절단, 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색상 / 반대쪽 보색
4. 표색계
1) 먼셀 표색계
- 미국의 화가, 색채학자 먼셀(Muncell)이 1095년 고안한 색체계
- 색의 3속성인 색상, 명도, 채도로 분류하여 표시
- 우리나라 교육용으로 주로 활용
- 뉴턴의 색을 보고 색체계를 정리
- 빨강(R), 노랑(Y), 초록(G), 파랑(B), 보라(P) 5주요 색상 (암기법 : 빨리와 노초잔아 파 보 ...)
+
주황(YR), 연두(GY), 청록(BG), 남색(PB), 자주(RP) 5 중간 색상
-> 10색상 X 10단위 = 100색상
- 먼셀의 색입체 : 색상 기호 H / 명도 기호 V / 채도 기호 C
H V / C로 표기 ex)빨강의 순색 표기 5R 4/14 : 색상 -5R, 명도 -4, 채도 14
2) 오스발트 표색계
- 오스트발트 색상환 : 빨강 노랑 파랑 초록(4원색) + 주황 보라 청록 연두(사이색)
-> 8기본색 X 3단계 = 24색상
- 오스트발트 색체계 : 완전색(C), 백색(W), 흑색(B)의 혼합
- B + C + W = 100% 라는 삼각형 원리
3) NCS 표색계
- 자연색(Natural Color)을 기본으로 인간이 어떻게 색체를 보느냐에 기초한 지각색의 심리적
혼합비
- 헤링의 4원색설을 기원으로 하여 오스트발트 색체계를 원형으로함
- 6가지 심리색 각각의 구성비로 표현(하양W, 검정S, 노랑Y, 빨강R, 파랑B, 초록G)
- 하양량, 검정량, 순색량의 세 가지 속성 중 검정량, 순색량, 뉘양스만 표기
4) PCCS 표색계
- 일본색채연구소가 1965년 발표한 표색계
- 색채조화를 주목적으로 한 컬러시스템
- 명도와 채도를 Tone이라는 두 가지 기호로 표시하는 Hue / Tone 시스템 도입
- 색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, 톤과 색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.
5) CIE 표색계
- 193년 국제조명위원회(CIE)에서 개발
- 가법혼색의 원리를 기본
- XYZ 표색계 : 3가지 기본 자극색(빨강, 초록, 청자)을 정삼각형의 한 점으로 구하고 X,Y,Z라고 하는
3각 좌표 위에 표시(색좌표)
- 말굽 모양의 CIE 색체계 중심 부분의 색은 백색
5. 빛과 색의 혼합(가색법, 감색법)
1) 가색법 = 가법혼합 = 가산혼합 = 색광혼합
- 빛의 3원색 빨강R + 초록G + 파랑B = 백색W
- 빛은 혼합 할 수록 -> 명도 높음
- 활용 컬러TV, 모니터, 프로젝터 등

- 빛의 삼원색 : 빨강R, 초록G, 파랑B -> RGB
- 색료의 삼원색 : 사이언 C, 마젠타 M, 노랑 Y -> CMY
- 색(빛)을 섞으면 보색이 아닌 색이 나온다 / 순서대로 외워야함!
2) 감색법 = 감색혼합 = 감산혼합 = 색료혼합
- 색료의 3원색 사이언C + 마젠타M + 옐로우Y = 검정K
- 물감은 혼합 할 수록 -> 명도 낮음, 채도 낮음
- 활용 : 잉크젯 프린터, 그림 등

- 색료의 삼원색 : 사이언 C, 마젠타 M, 노랑 Y
- 빛의 삼원색 : 빨강R, 초록G, 파랑B
- 색(색료) 섞으면 보색이 아닌 색이 나온다. 순서대로 암기해야함!
6. 색채와 이미지(잔상과 명시성)
1) 색의 잔상
- 어떤 자극을 받았을 경우 원자극을 없애도 색의 감각이 계속해서 남아있거나 반대의 상이 남아 있는
현상
예) 노란색을 일정시간 동안 보다가 흰색으로 눈을 옮겼을 때 남색이 잠깐 보이다가 사라지는 현상 :
보색 잔상
2) 색의 명시성(명시도, 시인성)
- 두 색을 배색하였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정도
- 명도차 높음 -> 명시도 / 색상차 높음 -> 명시도 높음
- 색 고유의 특성에 의한 것 보다는 배경과의 관계에 의하여 높아지거나 낮아진다.
- 노랑과 검정의 배색은 명시도가 가장 높다.
- 검정 배경일 때 노랑, 주황 높음 / 보라, 파랑 낮음
- 흰색 배경일 때 노랑, 주황 낮음 / 보라, 파랑 높음
- 유채색끼리는 보색관계가 명시도 높다.
7. 색채와 이미지(진출 후퇴 / 팽창 수축)
1) 색의 진출 후퇴
- 배경색보다 앞으로 진출해 보이는지 /배경색보다 뒤로 후퇴해 보이는지

2) 색의 팽창 수축
- 어떤 색의 면적이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지 / 작게 보이는지

8. 색채와 이미지(보색과 대비)
1) 보색
- 어떤 색광에 다른 색광을 혼합하여 흰색이 되거나(가색)
- 어떤 색료에 다른 색료의 색을 혼합하여 검은색이 되는(감색) 색의 관계
ex) RGB <-> CMY
2) 색의 대비
- 동시대비 : 두색을 동시에 놓고 보았을 때 주의 색상 영향으로 색이나 느낌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
(1) 명도대비 : 명도가 다르게 느껴짐
(2) 색상대비 : 다른 색상으로 보임
(3) 채도대비 : 채도가 강하거나 약하게 보임
(4) 보색대비 : 보색끼리 함께 봤을 때 선명하게 보임
- 계시대비 = 계속대비 = 연속대비 : 어떤 한 색을 보고나서 다른 색을 보았을 때 색이 다르게 보이는
현상
(1) 면적대비 : 면적 높음 -> 명도, 채도 높음 / 면적 낮음 -> 명도, 채도 높음
(2) 연변대비 : 두 색이 맞붙어 있을 때, 채도대비가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
(3) 한난대비 :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이 함께 있을 때 더욱 따뜻하고 차갑게 느껴지는 현상
* 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5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
안녕하세요 ~ ! 오토보이입니다. 오늘 시간 두번째 강의 입니다. 주말에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 쉽지 않네요. 옆에서 응원해주신분께 감사말씀드립니다~자료출처는 찐군님의 유튜브입니다. 좋
autoboy95.tistory.com
'자격증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 (1) | 2025.03.23 |
---|---|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(4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(0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2강 광학의 기초) (0) | 2025.03.17 |
사진기능사 (1-1강 사진의 역사) (2) | 2025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