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토보이
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본문

자격증/필기
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

오토보이 2025. 3. 22. 22:37

안녕하세요~! 오토보이입니다.
오늘의 세번째 강의입니다. 주말이라 열공 중입니다!
자료를 제공해주신 찐군 님께 감사 말씀드립니다.
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Wr251WznJwg?si=zhAqI2lAZ4VfCswq

1. 픽셀(Pixel)  = 화소
  - 디지털 이미지 구현의 최소 단위의 점
  - 비트심도 정보를 포함
  -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 = 비트맵 이미지
  - 벡터 이미지 : 수학 함수관계에 따라 선과 면을 만들어 이미지표현

1) 해상도(Resolution)
  - 픽셀 수와 픽셀밀도 표현
  - PPI(Poxels Per Inch) : 1인치 당 몇개의 픽셀로 구성되는가 ->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
  - DPI(Donts Per Inch) : 1인치 당 몇개의 점으로 구성되는가 ->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
ex) 3,000 x 2,400px의 이미지를 300dpi로 출력할 경우 -> 10(3,000 / 300) x 8 Inch
  - 픽셀 도트 수 높음 -> 고해상도 : 같은 크기의 화면에서 더 많은 정보를 표시
  - 픽셀 도트 수 낮음 -> 저해상도 : 같은 크기의 화면에서 더 적은 정보를 표시
  - 인터폴레이션(Interpolation) : 주변 픽셀의 평균값을 이용해 픽셀과 픽셀 사이에 새로운 픽셀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생성하여 이미지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

2. 비트심도(Bit Depth) : 톤과 컬러의 다양성

1) Bit(Binary Digit)
  - 정보의 양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
  - 1비트 = 0과 1의 한 자리
  - 8비트 = 1바이트(Byte) = 256개의 정보
  - 1개의 픽셀이 표현할 수 있는 단계의 수

2) 비트심도 - 톤과 컬러의 다양성
  - 1비트 = 2가지 톤
  - 2비트 = 4가지(2x2) 톤
  - 3비트 = 16가지(2x2x2) 톤
  - 8비트 = 256가지(2x2x2x2x2x2x2x2) 톤
  -> 많은 단계로 표현할 수록 다양한 컬러와 계조를 표현

비트에 변화 따른 표현되는 톤

  - Jpeg는 8비트이며 제일 많이 사용하는 비트임(기억해둘것!)

3. 이미지 센서
  - 디지털카메라 본체에서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이미지를 형성시켜주는 장치
  - CMOS, CCD 포베온X3 등이 있음.

CMOS와 CCD 장단점 비교


4. CMS(Color Management System)
  - 입력, 디스플레이, 출력 등 디지털장비가 가지고 있는 고유 색상 영역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색의
    차이
를 최소화하고, 일관되게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

CMS

1) CMS의 장점
  - 쉽고 정확한 색상 교정
  - 다양한 매체의 컬러를 일관 되게 유지 관리
  - 예측이 가능한 컬러 재현

2) ICC Profile
  - CMS를 적용할 때 디지털컬러 장비의 색 특성을 기술하고 있는 데이터 파일
  - 프로파일의 구조와 데이터기록 형식 등을 표준화하고 있는 파일

3) 캘리브레이션(Calibration)
  - CMS를 모니터에 적용하기 위한 단계
  - 모니터의 화이트밸런스, 밝기, 콘트라스트 등을 조절하는 과정

5. 저장매체(SD CF XD 메모리스틱)

1) SD카드(Secure Digital Card)
  - 매우작음 카메라, 블랙박스, 액션캠, 드론 같은 소형 기기에서 많이 사용

SD카드


2) CF카드(Compact Flash Card)

CF카드

3) XD카드(XD-Picture Card)
  - 올림푸스와 후지필림이 공동으로 개발한 메모리카드
  - 초기 디지털카메라에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

XD카드


4) 메모리스틱(Memory Stick)
  - 소니에서 개발한 메모리카드
  - 일부 소니 디지털기기에서 사용

메모리스틱

6. 파일포멧(RAW, JPEG, TIFF, GIF, PSD, DNG)

1) RAW
  - 이미지센서가 받아들인 빛의 정보를 가공하지 않은 순수한 상태
  - 컨버팅 과정 : 노출, 색온도, 콘트라스트, 채도 등 수정
  - '디지털 네거티브(Digital Negative)'

2) JPEG
  - 손실압축 파일, 업계 표준 형식
  - 디지털카메라 촬영 이미지로 주로 사용
  - 고용량 고품질의 사진을 작은 파일로 효과적으로 압축
  - 수정할 때마다 이미지품질 저하

RAW와 JPEG 생성과정


3) TIFF
  - 비손실압축 파일
  - 원본 그대로의 품질 유지
  - 파일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디지털카메라 촬영 이밎로 사용X

4) GIF
  - 인터넷을 통해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파일 형식
  - 손실 없는 압축방식 사용
  - 비트맵 방식 : 256컬러 지원

5) PSD
  - 어도비 포토샵의 다큐멘트 파일
  - 포토샵 작업 후 작업 내용의 Layer를 저장
  - 디지털카메라에서 촬영된 파일 형식X

6) DNG
  - Digital Negative
  - 어도비사의 RAW 이미지 포맷

7) 제조사별 RAW 포맷(참고)
  - CANON - cr2, cr3
  - NIKON - nef
  - SONY - arw
  - ADOBE - dng

7. RAW파일 컨버팅
  - 디지털카메라에서 RAW 방식으로 촬영 후 진행되는 여러 후 처리과정
  - 노출보정, 화이트밸런스, 콘트라스트, 샤프니스(선명도), 채도, 컬러 설정, 노이즈 필터 등을 수정
  - ACR(Adobe Camera RAW) 워크플로 옵션(Workflow Option)
    색공간, 비트심도, Size, 해상도 등 설정 / 감도는 설정 못함

8. 컬러모드

1) RGB 컬러모드
  -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컬러모드
  - 빛의 3원색을 대표하는 컬러
  - 가색혼합

RGB 컬러


2) CMYK 컬러모드
  - 인쇄시스템에 사용하는 컬러모드
  - 색료에 삼원색 + 블랙 K
  - 감산혼합

CMYK 컬러

3) Lab 컬러모드(Lab 색공간 / 시험에 잘나옴)
  - 인간의 눈으로 지각할 수 있는 모든 색 포함
  - 장치 독립적(비의존형) 컬러모드
  - CIE LAB : L*a*b*로 표시
  - L* : 명도 / 반사율, 0 ~ 100까지의 단계를 소수점이하 단위로 표현
  - a* : Red와 Green
  - b* = Yellow와 Blue

L*a*b* 컬러모드

4) 그레이스케일
  - 톤의 표시를 256단계의 회색 음영계조로 표현
  - 통상 흑백이미지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그레이스케일

  
9. 색공간(Color Space)  
  - 색을 수치적으로 정의하고 수치화한 체계

1) sRGB    
  - 1996년 Hp와 마이크로소프트가 협력하여 고안한 RGB 색 공간
  - 윈도우의 표준색 공간
  - 비교적 작은 색상 영역을 제공

2) Adobe RGB
  - 1998년 어도비에서 제작한 색 공간
  - sRGB에 비해 더욱 풍부한 초록, 파랑 영역 제공
  - CIELAB 색 공간을 약 50% 커버

3) DCI-P3
  - DCI(Digital Cinema Initiatives) 미국 영화 업계에서 2005년 디지털 영사기의 색 영역으로
    사용하기 위해 고안한 색 공간
  - 기존 sRGB보다 25% 더 넓은 색 영역을 표현(특히 적색 영역)
  - 애플의 표준 색 공간(Display P3)          

10. 메타데이터(Meta Date)
  -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할 때 이미지와 함께 기록되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
  - 촬영날짜, 시간, 화소수, 조리개, 셔터속도, 감도, 화이트밸런스, 렌즈 초점거리, 저작권, 연락정보
  - 파일명과 사이즈, 포맷 등을 포함하며 나중에 추가, 수정가능

11. 디더링
  - 제한된 컬러를 사용하여 본래의 높은 비트로 된 컬러의 효과를 최대한 살리는 영상처리 기법
  - 디더링은 점묘처럼 제한된 수의 색상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시각적으로 섞어서 만들어
    내는 것
  - 노란색과 빨간색의 점들을 기술적으로 배치해 주황색을 구현해 내는 것은 일종의 디더링
  - 포토샵에서 디더링을 조절하는 옵션 : 디퓨전 / 패턴

디더링 전 후

12. 디지털 인화

1) 충격식
  - 타자기
  -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
  - 라인 프린터 등

2) 비충격식
  - 잉크젯 프린터
  - 은염 레이져 프린터(디지털 실버 프린터)
  - 염료 승화형 프린터
  - 레이저 프린터

  (1) 잉크젯 프린터
  - 카트리지에 담긴 컬러염료들을 종이에 미세하게 분사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
  - 색상 재현능력이 뛰어나다
  - 흑백 / 컬러 인쇄 가능
  - 다양한 용지에 출력 가능
  - 잉크가격이 비싼편, 노즐막힘현상 발생

  (2) 은염 레이저 프린터(디지털 실버 프린터)
  - 인화지에 RGB레이저광을 감광하여 화학적으로 현상하는 프린터
  - 프린트 속도가 빠르고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
  - 대량 작업 시 유리
  - 까다로운 장비 유지 보수
  - 일정하지 않은 프린트 결과
  - 지속적인 약품관리 필요


  (3) 염료 승화형 프린터
  - C, M, Y로 구성된 염료토너를 가열 승화시켜 용지에 전사하는 출력 방식
  - 용지의 종류가 제한적
  - 소모품이 비싸서 높은 프린트 단가
  - 소량, 작은 사이즈 유리
  - 홈 프린팅으로 주로 사용


  (4) 레이저 프린터
  -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토너 입자를 종이에 흡착시켜 이미지를 형성
  - 프린터 가격은 비싸지만 프린트 속도가 빠르고 운영비용이 적게 발생


13. 모니터

1) CRT
  - 모니터 뒤쪽의 R, G, B 전자총이 형광 도트에 빔을 쏴서(주사) 동작하는 방식의 모니터
  - 크고 무겁고 전력소비가 심함

2) PDP(플라스마)
  - 얇고 투명한 판 사이에 특수 가스를 주입, 가스가 조그만 전극의 격자를 통하여 충전되면
    빛을 발생하는 방식의 모니터
  - LCD 이전 옛날 TV에 사용

3) LCD
  - Liquid Crystal Display
  - 일반적인 평판 디스플레이
  - 노트북, 디지털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

  4) LED
  - Light Emitting Diode
  - LCD보다 전력소비 낮고 화질이 좋음
  - 두께가 얇고 발열량 적음
  - 모니터 화면의 변색이 덜함

5) 모니터의 크기
  - 화면의 대각선 길이로 측정하며 Inch로 표기

6) 모니터의 해상도
  - 화면의 가로x세로 픽셀수
  - 1920 x 1080 - FHD
  - 3840 x 2160 -4K

7) 모니터의 재생률
  - 1초 동안 화면의 모든 픽셀을 주사하는 횟수
  - Hz로 표기

8) 모니터 조정(Calibratuon)
  - 모니터의 색온도, 밝기, 명암, 감마 등 조정 / 감도는 조정 못함

9) 모니터 색 영역
  - 모니터가 표현할 수 있는 색상 영역(Gamut)

10) 모니터 명암비, 모니터 응답속도

* 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7
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

안녕하세요~! 오토보이입니다. 오늘의 첫번째 강의입니다. 2-2강은 길어서 파트1과 파트2로 나눠 작성예정입니다. 필기시험이 2주정도 남았네요! 다들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. 벌써 봄이 성큼 다

autoboy95.tistory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