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토보이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2) 본문
안녕하세요~~!! 오토보이입니다.
오늘의 두번째 강의입니다. 날씨가 많이 따뜻하네요^^/ 다들 즐거운 주말되세요!
자료 제공해주신 찐군님께 감사드립니다.
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Pd8rfIhXeTs?si=rAw6I6-FH4mTKKD0
1. 흑백사진 - 현상
- 현상 -> 중간 정지 -> 정착 -> 수세 -> 안정 -> 건조
1) 현상액
- 알칼리성
- 분말, 용액 형태가 있음
- 현상주약 + 산화방지제(보항제) + 현상촉진제 + 현상억제제(포그방지제) + 경막제
2) 현상주약
- 메톨, 하이드로퀴논, 페니돈, 파이로, 아미돌, 글라이신 등
- 두가지 이상 섞어서 사용 됨
(1) 메톨(Metol)
- 급성현상주약
- 연조화상을 만듦
- 하이드로퀴논과 병용 -> MQ현상액
(2) 하이드로퀴논(Hydroquinone)
- 완성 현상주약
- 경조화상을 만듬
- 메톨과 페니돈과 함께 섞음
(3) 페니돈(PQ현상액)
- 증감현상액으로 주로 사용
- 하이드로퀴논과 병용 -> PQ현상액
(4) MQ현상액
- 메톨 + 하이드로퀴논
- 톤이 좋고 사용하기 쉬워 널리 사용
(5) PQ현상액
- 페니돈 + 하이드로퀴논
- 많은 양을 처리
- 피로도 적음
- 현상시간을 연장해도 입자가 커지지X
- 콘트라스트 강해지지 X
- 증감능력 좋음
3) 현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
(1) 현상온도
- 표준 온도 20도
- 20도 보다 높으면 -> 현상 속도 높음, 농도 높음, 입상성 낮음, 포그(사진이 뿌옇게 되는 현상) 많이
발생
(2) 현상시간
- 시간이 길면 -> 농도 높음, 거친입상성, 포그 강함, 콘트라스트 증가(경조)
(3) 교반
- 약품이 유제면에 골고루 반응하도록 현상 탱크나 감광재료를 흔들어 주는 것
- 필름 주변에 꾸준히 신선한 용액을 공급
- 현상 얼룩 방지, 현상 촉진
2. 흑백사진 - 정지
1) 정지액
- 산성(빙초산)
- 필름 유제에 묻어 있는 알칼리를 중화, 정악책의 피로도를 낮춰 수명을 연장

3. 흑백사진 - 정착
- 과도하게 장시간 정착 -> 흑화된 화상 부분이 감력(농도, 콘트라스트 저하)
- 정착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: 유제의 성질, 정착온도, 정착액의 감력작용, 정착액의 피로도
1) 정착액(산성)
- 미노광된 할로겐화은을 용해하여 제거 -> 비로소 밝은 곳에서 기록된 상을 확인할 수 있음

- 정착주약 : 티오황산나트륨, 티오황산암모늄 등
4. 흑백사진 - 수세
- 20도 정도의 흐르는 물에 30 ~ 60분 진행
- 필름과 인화지에 남아 있는 정착액(하이포)를 제거하는 작업
- 변색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보존을 위한 작업
5. 흑백사진 - 증감 / 감감
1) 증감
- 필름의 고유감도보다 인위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촬영 후 현상에서 조절하는 방법
- 예) ISO 400필름으로 ISO1600의 노출값으로 촬영 후 현상 시간을 증가
- 충분한 피사계심도와 빠른 셔터스피트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
- -> 섀도우 부분의 디테일 손실, 콘트라스트 증가(경조), 입자 거칠어짐
2) 감감
- 촬영 시 노출이 과다한 경우 현상시간을 단축하여 농도와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는 방법
6. 흑백사진 - 보력 / 감력
1) 보력

2) 감력

7. 잠상퇴행
- 감광재료(필름)를 노출 후에 현상하지 않고 오랜 시간 방치 시 기록되어 있는 잠상이 서서히 소실
되는 감도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현상

8. 컬러사진 - 컬러 필름 발색현상
- 빛과 반응한 유제층에 금속은 화상과 색소화상을 생성시키는 과정
1) 컬러네거티브 필름
- C-41현상법
- 발색현상 -> 표백 -> 제1수세 -> 정착 -> 제2수세 -> 안정 -> 건조
* 표백 : 컬러사진에서 필요한 색소화상만 남기기 위하여 은을 할로겐화 은으로 산화시키는 과정
2) 컬러리버셜 필름(슬라이드 필름)
- 내형발색(커플러 내부) : E-6 현상법
- 외형 발색(커플러 외부) : K-14현상법
* 커플러 : 컬러감광재료에 사용되는 색소를 형상할 수 있는 물질
9. 컬러사진 재료
1) 컬러네거티브 필름의 구조

2) 컬러네거티브 필름의 발색

3) 컬러러네거티브 필름의 인화

10. 확대기(집광식, 산광식 컬러)
- 촬영한 필름을 사용하여 인화할 때 사용하는 기구
- 텅스텐이나 쿼츠할로겐램프을 광원으로 사용
1) 집광식 확대기
- 전구의 빛을 콘덴서로 모아주는 방식
- 콘덴서로 모아진 강한 빛
- 노광시간이 짧다.
- 콘트라스트가 강하다.
- 필름의 입자와 흠이 잘 나타난다.
2) 신광식 확대기
- 전구의 빛을 확산 박스에서 혼합하는 방식
- 오팔글라스를 투과한 부드러운 빛
- 노광시간이 길다.
- 콘트라스트가 약하다.
- 필름의 입자와 흠이 나타나지 않는다.
3) 인화
- 밀착 인화(Contact Print)후 확대기에 걸어주고 이미지를 크게 확대인화

11. 암실 특수기법
1) 레티큘레이션(Reticulation)
- 고온에서 필름을 현상하여 저온으로 급격하게 정착하는 경우
- 부드럽게 부풀어 있던 유제면이 수축되면서 주름 모양의 요철을 생기게 하는 표현 방법

2) 릴리프포트(Relief Photo)
- 흰선과 검은 선이 피사체의 윤과에 나타나 조각의 부조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
특수기법

3) 포토그램(Photogram)
-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 투명체, 반투명체, 불투명체의 물체를 인화지 또는 필름 위에 올려놓고
그림자를 만들어 노광하여 현상하는 기법

4) 몽타주(Montage)
- 두 장 이상의 사진을 한 장으로 합성하는 것

5) 솔라리제이션
- 화상의 반전작용으로 인해 한장의 화면에 음화와 양화가 동시에 표현되는 인화기법
- 피사체 가장자리에 어두운 윤곽표현

6) 스포팅(수정)
- 인화할 때 생긴 먼지 자국이나 얼룩 등을 수정하는 것으로 사진용 리터칭 염료나 물감 등을 사용
12. 사진의 농도
- 하이키 : 사진이 전반적으로 밝은 톤을 가지고 있는 화조
- 로우키 : 전체적으로 어두운 토으로 표현되고 있는 화조

13. 특성 곡선
- 감광재료에서 작용하는 노광량과 사진 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
- 가로축 -노광량 / 세로축 - 농도
- 허터(Hurter)와 드리필드(Eriffield)가 고안하여 H-D곡선 이라고도 부른다.
- 감도, 계조, 관용도, Fog, 최고농도 등

- A-B : 발(Toe)부분 / 피사체의 어두운 저 농도부(노출부족)
- B-C : 직선(Straight)부분 / 피사체의 중간 농도부(적정 노출), 노광량에 비례하여 농도 증가
기울기를 통해 콘트라스트(감마)를 알 수 있다. -> 기울기(r치) 가파르면 콘트라스트 강함
- C-D : 어깨(Shoulder)부분 / 피사체의 밝은 고 농도부(노출 과다)
- D-E : 반전(Solarization)부분 / 노출량이 증가함에도 최고 농도점보다 오히려 농도가 옅어지는
부분, 부분적으로 반전되어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난다.
- 베이스 포그 농도 : 아무런 빛을 받지 않은 필름이어도 농도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님 어느정도 기본
농도가 있음. / 최소 농도점 : D-Min, 최고 농도점 : D-Max
14. 존 시스템(Zone system)
- 흑백사진에서 콘트라스트와 톤을 조절하기 위해 고안한 실용적이고 규칙적인 방법
- 존0(0)부터 존10(X)까지 11단계의 존으로 나뉘어져 있다.
- 존0(0) : 완전 검은색 / 존5(V) : 반사율 18% / 존10(X) : 완전 백색

* 사진기능사(3-1강 카메라) 공부하기 : https://autoboy95.tistory.com/m/9
사진기능사(3-1강 카메라)
안녕하세요 ~ ! 오토보이입니다. 오늘의 세번째 강의입니다. 날씨 너~무 좋은데 공부를 하고 있다니 너무 슬프지만 힘내야겠죠?!강의 제공해주신 찐군님 감사합니다. 유튜브 주소 : https://youtu.be/N
autoboy95.tistory.com
'자격증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진기능사(3-2강 렌즈) (0) | 2025.03.23 |
---|---|
사진기능사(3-1강 카메라) (4) | 2025.03.23 |
사진기능사(2-2강 은염사진과 현상과 인화 Part. 1) (1) | 2025.03.23 |
사진기능사(2-1강 디지털 사진) (4) | 2025.03.22 |
사진기능사(1-4강 노출) (0) | 2025.03.22 |